대중문화

그람시주의문화론 2

mynews-365 2025. 10. 2. 10:02

 

 

 

특히 그의 헤게모니론은 대중문화 연구 틀을 정립하는 데 매우 유효하 다. 본래 헤게모니란 용어는 1890년에서 1917년 러시아 사회주의 운동 과 정에서 사용된 정치적 슬로건이었는데 이후 그람시가 기존 헤게모니 이 론에 자신만의 독창적인 개념을 추가하여 문화이론을 설명하는 데 사용 하였다.13 그람시에게 헤게모니는 정치적 개념이며, 발전된 서구 민주사회에서 자본주의의 억압과 착취에도 불구하고 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 는지를 해명하려는 이론적 틀이었다. 지배 계층은 단순히 사회를 통치하 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지적 리더십을 가지고 사회를 이끌어 가는데 헤게모니는 바로 이런 상황을 가리키기 위해 그람시가 사용한 개 념이다. 헤게모니란 지배계급이 대중들의 지지와 동의를 획득하면서 행 사할 수 있는 (경제적, 정치적, 지적, 도덕적인) 광범위한 권위를 의미한 다. 그람시는 이를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배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 적 용하였다.

 

 

 

그람시에 의하면 지배 계층의 억압과 착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합의 와 고도의 사회적 안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까닭은 피지배 계층이 그들을 현재의 권력구조에 묶어두는 가치나 이상, 목적, 문화적 의미들을 자발적 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자본주의의 지배는 피지배계 급으로 하여금 현재의 질서에 동의하는 것이 자기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믿도록 상황을 정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람시의 이러한 헤게모니 개념은 대중문화를 새롭게 다룰 수 있는 효 과적인 해석 틀을 제공한다. 헤게모니로 인해서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활동들이 전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람시가 기반하고 있는 마르크스주의 문화론에서 대중문화를 이해하는 방식은 억압적인 구조를 영속화시키기 위한 폭력, 강제, 조작, 강요, 기만이라는 키워드는 있었으 나 대중들의 동의를 창출해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는 결여되어 있었다. 그 러나 그람시는 대중문화의 영역에서 지배적인 헤게모니는 지배층의 이해 관계를 보편화시키려는 시도가 내재되어 있으면서도 대중들의 평균적 삶 의 방식과 가치가 드러나며 동시에 대중들의 저항이 관철되는 투쟁의 장 소라고 파악하였다. 그것은 지배계급이 그들의 헤게모니를 관철시키기 위해 단순히 강요된 문화일 뿐 아니라 대중들의 자발적인 동의가 내재되 어 있는 양자의 혼합물이었던 것이다. 비로서 대중문화, 문화적 산물들은 지배와 착취의 수단이면서 동시에 적극적인 저항의 수단이 된 것이다. 이는 ‘대중의 창조적 정신’이 발현되기에 가능하다.

 

 

 

지배문화의 헤게모 니가 유지되고 생산된다면, 그것은 동시에 대중의 동의에 의한 것이어서 헤게모니가 일방적인 지배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대중이 자신의 주 체적 욕망을 표현하는 방식은 비록 체계적이지는 못할지라도 그들의 문 화를 주체적으로 형성하고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람시는 문 화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고찰함으로써 일방적인 헤게모니가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한편 그람시는, 헤게모니는 ‘유기적 지식인’들에 의해 조직된다고 보았 다. 그람시는 ‘지식인이란 뛰어난 지적 능력의 소유자가 아닌 그 지식을 다른 사람들에게 주입할 사회적 책무가 있는 사람’14으로 규정하였다. 모든 사회집단은 그들만의 지식인 계층을 지니고 있으며 각 집단은 자 신들의 지식인들을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상부구조의 기본계급, 지도적 집단의 세계관과 의지를 형성 결집 확대시키는 역할, 즉 계급적 헤게모니 지배가 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기업가는 정치경제 전문가, 테크노라 트, 문화나 법체계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엘리트로서 문화나 이데올로기 분야에서 리더십을 제공하게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그람시는 대중적 영 역에서도 유기적 지식인들을 통해 대중들의 자발적 동의를 이끌어내야 하며 각 부분마다 지도자가 존재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지식인 은 특히 유기적 지식인은 항상 대중의 열정을 느끼고 이해하도록 노력해 야만 된다. 이렇듯 대중문화에 적대적이거나 무비판적 찬양이거나를 경계하면서 대중문화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이데올로기나 계급환원주의에서 벗어 나 인종, 젠더, 세대 같은 다양하고 상이한 영역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 그람시의 헤게모니론은 효과적인 문화 연구 방법틀로서 그 유용성이 크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