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문화콘텐츠의 확장 현황
1. 한류문화콘텐츠의 시작
한류(韓流)는 한국의 대중문화와 인기 연예인이 아시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에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면서 발생한문화현상을 말한다. 위키피디아(Wikipedia)에서는 ‘Korean Wave’로, 는 한자로 ‘韓流’, 홍보용어로 ‘Hallyu’라 부르고 있다. 이제는 브리태니커 (Britannica)에 기재된 대중화된 용어가 되었다.
한류는 1990년대 중후반 중화권을 중심으로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가수 클론, HOT 등의 인기를 통해 ‘한류’라는 언어 표현이 중화권 매체에 처음 등장하였다. 한류(Korean Wave) 용어는 중국 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 1999.11.19)에서 한국의 여흥 및 문화의 인기를 표현하면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1980년대 일본의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수용될 때 ‘일류(日流)’라는 용어를 만들어 다룬 바가 있다고 밝혔는데, 중국에서 타국의 문화를 수용할 때 특정 국가의 문화가 광범위하게 유행할 때 해당단어를 새로 만들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중앙일보(2000. 01.08) 기사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아사히(朝日)신문(2001.12.25.)이 당시 대만에서 일어난 한류 열풍을 소개하면서 처음 등장하였다. “일본에서 한류는 1998년 한일문화개방을 계기로 ‘쉬리(2000)’,‘JSA(2001)’등 많은 한국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한국영화의 붐을 조성하였다. 한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드라마 ‘겨울연가(2002)’는 2003년 NHK위성방송과 2004년 지상파 방송을 타면서 ‘욘사마 신드롬’을 일본 중․노년 여성들 사이에서 일으키게 된다. 이를 계기로 한국드라마가 일본에 대거 진출하게 되자 한류”라는 단어가 공식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1980년대부터는 한국 가수들이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2002년 가수 보아가 일본레코드 앨범차트 1위가 되면서 한국의 대중음악이 일본의 새로운 한류를 열기 시작하였다. 이후 2000년대 중후반 K-pop의 열풍으로 한류 2.0시대가 열리면서 한류 열풍은 재점화 되었다. 드라마를 통해 확대된 한류는 2000년대 후반 아이돌 가수 중심의 K-pop중심으로 동아시아에서 높은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서 한류의 중심이 드라마에서 K-pop 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K-pop을 위주로 시작된 새로운 한류는 인터넷, SNS 등 온라인 미디어에 적응이 빠른 10대와 20대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팬 층이 형성되고 있으며, 아이돌 가수의 모습과 퍼포먼스를 흉내 내는 ‘커버문화’가 UCC 등을 통해 전파되면서 K-pop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전의 드라마 중심의 초기한류가 현지TV를 통한 방송을 통해 전파되었던 반면, K-pop으로 대표되는 신한류는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인터넷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확산되고 있어 그 속도와 전파력이 더 빠르고 뛰어나다.
특히, 2012년 발표된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유튜브 사상 최초로 10억 뷰를 돌파한 글로벌 메가 히트곡이 되었고, 이는 K-pop이 더욱 확산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이제 한류라는 표현은 음식한류, 의료한류 등 다양한 분야로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경제적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한류 2단계는 아이돌 가수가 세계무대에 진출하기 시작했고 지리적으로 가깝거나 문화적으로 유사한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를 뛰어넘어 미국과 유럽의 언론 및 대중의 관심을 뜨겁게 받았다는 측면에서 이전의 형태와 차별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동영상 전문 사이트와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한 한류의 확산,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드라마의 전 세계적인 관심, 드라마와 음악 이외의 다양한 예술 분야로의 한류의 확대 등이 한류 2단계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이후 전문가들은 한류가 세계 주류 문화로 자리 잡는 단계에 진입하려면 편중을 뛰어넘고 다양화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에 각계각층의 다양한 노력으로 한류 3단계가 전통문화, 문화·예술, 문화콘텐츠를 모두 포괄하는 K-Culture로 나타났다. 기존의 한류가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일부 문화·예술 분야를 포함한 의미라면 K-Culture에는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세 가지 구성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