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의 지역과 대상은 이미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이며 소수의 열성 팬을 넘어 보편적인 세계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류의 교감 지역이 전 세계인 것은 물론 ‘전 세계인이 함께하는 한류’라는 목표를 반영한 것이다. 위와 같은 한류의 발전과정은 아래 <표 1>과 같이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표 1> 한류의 발전과정
구분 | 한류 1.0 | 한류 2.0 | 한류 3.0 | 한류 4.0 |
발전 단계 |
한류 생성기 | 한류 심화기 | 주류문화 확립 | 주류문화 선도 |
기간 | 1993~2000년대 중반 | 200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
2010년대 초반-2019년가지 |
2020년 이후 |
주 요 장 르 |
드라마 | K-Pop | K-Culture | K-Media |
주 요 지 역 |
중국, 일본 대만,동남아시아 | 아시아, 유럽일부,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미국 |
전 세계 | 전 세계 |
주요 소비자 |
소수의 마니아 | 10대-20대 | 세계 시민 | 세계 시민 |
주 요 매 체 |
케이블TV, 위성TV, 인터넷 |
유튜브, SNS | 모든 매체 | MICE 포함 모든 매체 |
한류 4단계는 코로나19와 맞물려 뜻하지 않게 시작되었다. 방탄소년단(BTS)과 영화의 <기생충>, <미나리>, <빠친코>, <오징어게임> 등이 선전한 것도 있지만 의외의 분야인 K방역에서 한류 4단계를 맞게 된다. 이는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대한민국의 의료 체계뿐 아니라 한국인들이 보여준 절제와 배려의 도덕적 힘이 세계의 본보기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또한 4차산업혁명시대 트랜스미디어콘텐츠로 확장되어 SPIN-OFF/OTT 등의 매체를 기반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빌보드 차트 1위 BTS와 함께 대한민국의 파고(K-WAVE)가 전 세계에 한류 4단계를 더욱 다양한 영역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중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다리기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0) | 2025.10.09 |
---|---|
한류문화콘텐츠의 확장 현황 (0) | 2025.10.08 |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성 (0) | 2025.10.08 |
그람시주의문화론 2 (0) | 2025.10.02 |
그람시주의 문화론1 (0) | 202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