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2

그람시주의 문화론1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문화산업론을 가지고 최초로 문화산업이 유포하 는 이데올로기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하지만 노동자 대중에 대한 이들의 절망은 결과적으로 엘리트 주의적인 문화관으로 연결된다. 그들이 대안으로 제시하는 비판이론과 자율예술의 개념은 지극히 반(反)대중적이며 엘리트주의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문화적 형식에 물들지 않은 창조적인 자율예술은 필연적으로 대 중의 보편적인 정서와 거리가 먼 것일 수밖에 없고 그런 자율예술로는 어 떤 대중의 힘도 결집시킬 수 없다, 는 오류로 귀결되고 만다. 이후 1980년대 중반부터 문화연구 영역에서는 대중문화 속에서 작동하 는 이데올로기의 지배라는 명제를 부정하는 견해들이 점차 우세해진다. 수요자 중심의 문화연구가 대두된 것이..

대중문화 2025.10.01

2. 왜 그람시주의인가?

대중문화에 대한 정의는 단순히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문화라는 것부터 고급문화 이외의 문화, 대량 소비를 위해 대량생산된 상업문화, 마 비된 정신으로 또는 무감각한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소비되는 문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상징적 저항이 주로 나타나는 낭만화된 노동계급 의 문화, 위에서 강요된 것도 아래로부터 자발적으로 일어난 대항적 문화 도 아닌 지배-피지배 문화 간의 이데올로기적 투쟁이 일어나는 영역, 고 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구분이 더 이상 무의미하며 모든 문화는 상업문화 이고 문화산업적·정치경제학적 논리가 아니라 문화자체가 상업이다 까 지 다양하다. 대중문화의 정의에 대한 이같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해둘 것 은 문화란 물질적인 생산이나 분배를 둘러싼 사회적 과정, 관계와 결코 분리될 수 ..

대중문화 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