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0 2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성3

2) 자발성과 참여성을 통한 공동체성 확장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역축제로 정립되어야 한다. 지역축제로의 줄다리기가 재탄생하기 위해 지역 사회의 문화 콘텐츠를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매력 있는 지역의 스토리와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지역색 짙게 스토리텔링한다면 줄다릭는 한류문화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때 우리의 문화와 가치를 글로벌 기준에 맞게 재해석하고 창조하는 노력을 해야 하며 문화콘텐츠 발굴과 재해석에 필요한 한국적 문화의식과 정체성은 우리의 문화원형에서 찾아야 한다. 문화원형에서 생활문화로 영역을 확대하면 콘텐츠의 자원은 무궁무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동시에 줄다리기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흥의 잔치를 형성하려면 기존의 민속 콘텐츠..

대중문화 2025.10.10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성2

1. 줄다리기 콘텐츠의 확장 의의줄다리기는 고유한 전통성과 함께 민중들의 무의식을 자극하여 그 안에 녹아드는 사회집단적 가치와 인간의 감정을 상징화한 예술 양식이다. 줄다리기 상징성에는 민간사상이 기초가 되었고 생활관습과 취향으로 재해석되어 확립되었다. 따라서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는 한류팬들에게 다양성, 개방적창의성, 편안한 접근성을 통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선조들의 관습과 풍습, 관례 속에서 발견하는 사상적 의미와 상징성을 통한 줄다리기의 예술성에 대한 이해를 넓혀 한국 민속놀이의 미의식을 폭넓게 확장시킬 수 있다. 이로서 줄다리기가 보여주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한 한류문화콘텐츠는 전통문화 이해를 가능하게 하여 민족적 자긍심을 배양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대중문화 2025.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