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 2

강금종작가 결론

본 연구는 지역 문화인물의 발굴 및 재조명을 통해 지역의 상징성과 문화적 정체성 을 정립할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한 인문학과 예술 교육의 학문적 기반과 방향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종시의 중요한 문화인물 ‘강금종’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 재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금종 작가는 제주 출생이지만 일본에서의 생활 이후 구 연기군 조치원읍에 거주하면서 집필 활동을 하며 ‘백수문학동인회’를 창립하고 ‘백수문학’을 발간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서 ‘계림동지회’를 통한 독립운동으로 일본에서 옥고도 치르기도 하였으며,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문학인으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독립운동에 헌신 하여, 세종시의 문화인물로 그의 생애와 작품 발굴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인물로서 강금..

아카이브를 통한 콘텐츠 구성

1. 콘텐츠 기획 방향 문화인물의 콘텐츠 기획은 인물 연구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다. ‘연구 없는 활용’은 본말이 전도된 모습으로 왜곡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인물 연구가 다양한 주 제로 융합되는 형태로 기획되어야 한다. 문화인물의 연구는 업적, 삶의 태도, 사상, 철학, 세계관, 사회, 문학 등 그 인물이 생 산한 다양한 내용을 고려하여 주제와 영역을 설정한다. 연구 결과는 디지털 사이트로 구축 방향을 모색한다. 문화인물을 총체적으로 담은 자료의 정보는 해석된 결과 위주 의 서술보다 항목별 원천자료 제공에 초점을 맞춘다면 자료의 활용도면에서도 효과적 일 것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세종시문화대전󰡕의 강금종의 기록, 월간중앙(1980년 2월 호) 육필 수기 “계림동지회사건”, 김영화 교수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