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2

3. 하이쿠와 문화전통

하이쿠는 17音으로 구성된 세계에서 가장 짧은 정형시로 5⋅ 7⋅ 5 형식의 확립은 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5·7·5·7·7 의 31자로 정형화되어 있 는 와카15)는 상류층 귀족들의 전유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왔다. 와카를 통해 귀족들은 자신들의 생활양식과 미의식을 표현하였으나 우아한 세계만을 추구 했을 뿐 보편적인 희로애락의 정신은 담지 못했다. 그러한 와카의 형태 속에 렌가(連歌)는 일종의 사교문예로 앞의 구 5·7·5 와 뒤의 구 7·7을 두 사람 이 상이 함께 읊어나가는 형식의 노래였는데 이것은 귀족사회에 처음 발생하여 점차 중세에 이르러서는 무사들과 승려 사이에서 많은 인기를 얻어 널리 유행하 게 된다. 그들은 더욱 여러 구를 연결하여 서로 간의 시정(詩情)을 즉석에서 교 환하는..

대중문화 2025.10.16

시조와 하이쿠를 통해 본 한류 문화전통 고찰

I. 서론혐한의 역풍에도 한류의 열풍은 여전하다. 일찌감치 선진국에 합류한 일본이 나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의 그것보다 우리나라의 한류가 아 시아의 많은 국가들에게 통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겠는가, 그것은 이들 나라와 의 문화적 보편성 이외에 한류만 품고 있는 문화적 독창성. 문화전통 때문일 것이다.이로 인해 오늘 한류가 품고 있는 문화 전통이란 무엇일까, 하는 점을 본고 의 시작으로 삼았다. 한류의 문화전통을 찾아 그를 토대로 일본의 하이쿠와 우 리의 시조를 비교해 볼 것이고, 그 과정에서 하이쿠는 어떠한 일본의 문화전통 을 품고 있어 세계화에 성공했는지를 함께 고찰해 보려 했다 . 이와 관련해 한류 콘텐츠의 관점에서, 세계 다른 나라 정형시들과는 다르게 7백여 년 동안 긴 역사를 면면히..

대중문화 2025.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