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2

줄다리기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1.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놀이문화적 가치놀이 문화로서 줄다리기의 가치는 일상생활에서 공동체적 또는 전통적 가치관으로 놀이에 오롯이 담겨있다. 줄다리기의 연행 방식에서도 단순히 놀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따라, 예를 들어 호남지역에서는 마을 공동 제의인 동제(洞祭)와 함께 연행된다. 동제는 마을 신앙과 풍습을 담고 있어 그 시대의 생활풍습과 문화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로서 줄다리기는 조선시대의 농경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놀이를 준비하고 실시하는 동안 이루어지는 다양한 과정들은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풍습과 사상을 이해하는 정보로 활용된다.이러한 특성으로부터 줄다리기는 보편적 놀이로서 가치, 놀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 발..

대중문화 2025.10.09

한류문화의 발전 단계

한류의 지역과 대상은 이미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이며 소수의 열성 팬을 넘어 보편적인 세계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류의 교감 지역이 전 세계인 것은 물론 ‘전 세계인이 함께하는 한류’라는 목표를 반영한 것이다. 위와 같은 한류의 발전과정은 아래 표 1>과 같이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표 1> 한류의 발전과정구분한류 1.0한류 2.0한류 3.0한류 4.0발전단계한류 생성기한류 심화기주류문화 확립주류문화 선도기간1993~200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2010년대 초반-2019년가지2020년 이후주 요장 르드라마K-Pop K-CultureK-Media주 요지 역중국, 일본 대만,동남아시아아시아, 유럽일부, 중동아프리카,중앙아시아, 미국전 세계전 세계주요소비자소수의 마니아10..

대중문화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