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론적 논의2.1. 문화헤게모니와 문화민주주의그람시의 정치사상은 한 계급에 대한 다른 계급의 지배가 경제적 · 물리적 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피지배계급이 지배계급의 신념체 계를 받아들이며 그들이 사회적 ·문화적 ·도덕적 가치를 공유하게끔 동 의를 구하고 설득하는 데 의존한다는 헤게모니 이론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람시는 서구 자본주의 지배 수단이 강제력과 설득력으로 나뉘며, 전자는 억압적인 수단을 통해 후자는 헤게모니를 통해 각각 이뤄진다 고 보았다. 즉 사회의 전통적인 관계 ·문화유형 ·생활양식이 재창조되기 위해선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투쟁을 수반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획 득된 새로운 세계관과 가치관의 지적 ·도덕적 리더십이 대항헤게모니 로 작용한다는 것이다.이런 측면에서 그람시의 문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