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시조와 하이쿠의 사례를 보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까마귀’라는 시 적 대상에 대한 작자의 생각이 너무나 대조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예1) 가마귀 싸우는 골에/ 정몽주어머니, 청구영언(靑丘永言)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白鷺)야 가지 마라 성낸 가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청강(淸江)에 됴히 씨슨 몸을 더러일가 하노라쓰러져가는 고려의 운명을 다시 회복시키려고 애쓰는 아들 정몽주를 위해서 지었는데, 이성계가 아들 이방원으로 하여금 잔치를 베풀어 정몽주를 초대할 때 그에게 지어준 어머니의 노래이다. 시대가 바뀌어 나라를 지배하는 새로운 탐욕의 무리와 변절한 자들 사이에서 곧은 지조와 의리를 갖춘 사람이 자칫 휩 쓸리지는 않을까 걱정하면서, 자신의 다짐도 새롭게 하고 있다. '까마귀'와 '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