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왜 지금 ‘K-콘텐츠’인가

mynews-365 2025. 9. 20. 21:20

 

 

 

1. 서론: 왜 지금 ‘K-콘텐츠’인가

  • 202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한국 콘텐츠 산업은 내수 중심에서 글로벌 수출 중심 구조로 빠르게 전환 중입니다.
  • 그러나 동시에 소비 방식의 다변화, 기술 변화(특히 AI), 플랫폼 경쟁 심화라는 복합 위기 속에 놓여 있어, 단순한 ‘한류 붐’ 이상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기입니다.
  • 2025년은 그런 변화가 한층 가속화되며, ‘Next K-Contents’ 전략이 구체화되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2. K-콘텐츠 수출 동향과 경제적 파급

2-1. 수출 규모

  • 2024년 한류(韓流) 관련 콘텐츠 및 산업의 수출액은 약 151억 8,300만 달러, 한화로 약 21조 원 수준에 달했습니다. 
  • 품목별로는 게임이 약 77억 4,00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음악 약 18억 2,600만 달러, 방송영상 콘텐츠 약 7억 6,100만 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통계에 따르면, 콘텐츠산업 전체 수출액은 2022년에 약 132억 달러 수준이었고, 이후 지속 상승 추세입니다.

2-2. 파급효과와 관련 산업 연계

  • 한류를 통한 생산 유발 효과는 2023년 대비 약 10.7% 증가한 37조 6,195억 원으로 분석되었습니다.
  • 특히 게임 콘텐츠의 생산 유발 효과가 약 10조 2,000억 원으로 가장 컸고, 그 뒤로는 관광(5조 1,855억 원), 화장품(5조 719억 원), 음악(4조 2,933억 원), 식료품(3조 8,321억 원) 순으로 이어졌습니다.
  • 저작권 무역수지는 2024년 기준 역대 최대 흑자인 약 5억 2,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12년 연속 저작권 무역수지 흑자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이처럼 콘텐츠 수출은 단순히 ‘콘텐츠 자체 매출’ 뿐 아니라, 주변 산업(e-commerce, 관광, 소비재, 굿즈, 저작권 사업 등)과의 결합을 통해 국가 전체의 경제적 파급력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3. 콘텐츠 소비와 시장 환경 변화

3-1. 소비 패턴 변화

  • 2025년 콘텐츠 소비 시간은 전년 대비 약 3.8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온라인 콘텐츠의 주당 소비 증가율은 3.70% 수준입니다. 
  • 반면, 콘텐츠 소비를 위한 월평균 지출액은 오히려 –1.55% 감소, 특히 온라인 콘텐츠 분야에서는 –3.11% 감소로 지출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콘텐츠 장르별 전망으로는 ‘도서 소비’가 15.85% 증가, ‘OTT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7.06%, ‘대중음악 콘서트’도 7.02% 증가가 예상되지만, 반면 게임 콘텐츠 소비(-0.80%)와 전통 TV 시청(-1.67%)은 감소 추세입니다. 

3-2. 플랫폼 경쟁과 전략 변화

  • OTT 및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플랫폼 간 네트워크 효과와 개인화 추천 알고리즘을 강화하며 ‘구독 기반 소비’ 중심 구조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습니다. 
  • 제작사와 플랫폼 간 협업이 심화되고, 콘텐츠 IP의 글로벌 확장 전략(초현지화, 다국어 번역, 현지 제작자와의 협업 등)이 2025년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미디어 업계에서는 ‘AI 기반 제작 효율화’가 극심한 경쟁 속에 필요한 생존 전략으로 인식되며, 2025년 주요 키워드로 ‘AI’와 ‘미디어 AI 변이점’이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 한편, 2025년 콘텐츠 업계 주요 트렌드 키워드로는 ‘인지人조화(인공지능과 인간의 조화)’, ‘네오크리에이터’, ‘시소(SISO: Save, Individualize, Sustain, Organize) 전략’, ‘콘덕지교(콘텐츠 덕후와 소비자 간 교류)’, ‘콘멜리온(급변에 적응하는 콘텐츠)’ 같은 복합 전략 키워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와 창작의 융합  (0) 2025.09.20
향후 과제와 전략적 제언  (0) 2025.09.19
K-콘텐츠 수출 규모 변화  (0) 2025.09.19
2025년 한국 콘텐츠 산업 트렌드 분석  (0) 202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