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4

mynews-365 2025. 9. 29. 20:18

마무리....

 

 

K-POP 데몬헌터스의 글로벌 흥행을 사례로 하여, K-팝이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 글로벌 문화산업의 플랫폼으로 성장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세 가지 핵심 과제인 적극적 향유자로서의 팬덤 확장, 관광·패션·식품 등 연관 산업과의 융합적 확장, 글로벌 타겟을 위한 정체성 마케팅은 K-팝이 문화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좌표라 할 수 있다.

첫째, 팬덤의 적극적 참여는 K-팝 산업의 가장 중요한 동력임이 확인되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참여문화는 단순 소비를 넘어 2차 창작과 재생산을 통해 K-팝의 서사를 확장하며, 이는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K-팝이 콘텐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된다.

둘째, 관광·패션·식품 등 산업별 확장은 K-팝의 부가가치를 비약적으로 확대시킨다. 촬영지 관광, 패션 브랜드 협업, 글로벌 F&B 마케팅 등은 개별 산업의 매출 증가에 그치지 않고, K-팝을 중심으로 한 한류 융합 생태계(한류 4.0)를 구축하는 촉매로 기능한다.

셋째, 글로벌 시장에서 K-팝의 경쟁력은 현지화의 모방이 아니라 정체성의 선명화에서 비롯된다. 한국적 미학과 문화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전략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를 재확인시켰으며, 이는 창작국악 등 전통 문화 자원과 결합할 때 더욱 강력한 글로벌 차별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K-팝은 향후 학술적 담론과 산업적 실천이 상호 보완되는 가운데, 팬덤 참여형 플랫폼 강화, 산업 간 융합 생태계 조성, 정체성 기반 글로벌 마케팅이라는 세 축을 통해 음악을 넘어 세계 문화산업의 핵심 허브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는 곧 K-팝이 단순한 장르적 성공을 넘어, 한국 문화 전반의 지속 가능한 세계화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