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타겟을 위한 정체성 마케팅
‘케데헌’의 성공에서 한국이 문화산업이 가져야 할 중요한 교훈은 ‘정체성’일 것이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다고 해서 한국적 색깔을 희석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국적 정체성을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는 것이 차별화의 핵심이 되었다. 이는 기존의 ‘현지화’ 전략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현지 문화에 맞춰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특한 문화적 가치를 전 세계에 어필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적 미학의 현대적 재해석 즉,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명제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케데헌’의 호작도 캐릭터 ‘Derpy’나 한복 모티프 무대 의상처럼, 전통문화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전략은 글로벌 차별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한국의 민화, 궁중무용, 민속악기를 모던 팝·힙합·EDM에 융합하는 발전적 시도가 될 수 있다.
K-팝은 세계 팬들에게 보편적 감성(사랑, 우정, 자기 정체성 탐색)을 전달하면서도, 동시에 한국적 요소(언어, 미학, 상징)를 잘 드러낸다. 이는 글로벌 마케팅에서 “로컬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브랜딩” 전략으로 한국적인 정체성이 오히려 차별화된 세계적 매력으로 되게 하는 것입이다.
<표 1> 케이팝의 방향성: 학술적 분석과 산업 전략의 통합 비교
구분 | 학술적 분석 축 (이론 기반) |
실천적 산업 전략 축 (현장·정책 기반) | 연결 및 보완 관계 |
확장성 | 트랜스미디어 전략 | 팬덤 확장 | 트랜스미디어 구조가 팬덤의 활동 무대를 넓히고, 팬덤 확산은 트랜스미디어 전략을 강화 |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OTT, 굿즈 등 다매체 확장 - 팬덤의 참여문화 (prosumers) 강조 (Jenkins, 2006) |
-적극적 향유자로서 팬덤의 글로벌 확대 - SNS·챌린지·2차 창작 활성화 |
||
문화적 차별화 | 한국적 미학의 현대적 재해석 | 산업별 확장 (관광·패션·식품 등) |
전통 미학을 활용한 콘텐츠가 관광·패션·식품 산업으로 연결, K-컬처 융합 산업 창출 |
- 민화, 한복, 전통음 악의 현대적 변용 -“가장 한국적인 것 이 가장 세계적이다” |
- IP기반 문화상품화 - 한류 관광·패션 브 랜드·식품 협업으 로 확장 |
||
글로벌 보편성 | 보편적 스토리텔링 + 음악적 혼종성 |
글로벌 정체성 마케팅 | 보편적 서사는 세계 관객을 끌어들이고, 정체성 마케팅은 차별적 이미지를 강화 |
- 우정·정체성·희생 등 글로벌 공감 서사 - 혼종적 케이팝 음악 포맷(Jin, 2016) |
- K-pop을 한국적 아이덴티티와 결합한 글로벌 브랜드 전략 -현지화가 아닌 “K-정체성의 세계화” |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4 (0) | 2025.09.29 |
---|---|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2 (1) | 2025.09.28 |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1) | 2025.09.28 |
‘케데헌’의 성공 요인 (0) | 2025.09.27 |
‘K-POP 데몬헌터스’ 의 성공 요인 (0) | 2025.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