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4

mynews-365 2025. 9. 29. 20:18

마무리....

 

 

K-POP 데몬헌터스의 글로벌 흥행을 사례로 하여, K-팝이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 글로벌 문화산업의 플랫폼으로 성장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세 가지 핵심 과제인 적극적 향유자로서의 팬덤 확장, 관광·패션·식품 등 연관 산업과의 융합적 확장, 글로벌 타겟을 위한 정체성 마케팅은 K-팝이 문화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좌표라 할 수 있다.

첫째, 팬덤의 적극적 참여는 K-팝 산업의 가장 중요한 동력임이 확인되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참여문화는 단순 소비를 넘어 2차 창작과 재생산을 통해 K-팝의 서사를 확장하며, 이는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K-팝이 콘텐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된다.

둘째, 관광·패션·식품 등 산업별 확장은 K-팝의 부가가치를 비약적으로 확대시킨다. 촬영지 관광, 패션 브랜드 협업, 글로벌 F&B 마케팅 등은 개별 산업의 매출 증가에 그치지 않고, K-팝을 중심으로 한 한류 융합 생태계(한류 4.0)를 구축하는 촉매로 기능한다.

셋째, 글로벌 시장에서 K-팝의 경쟁력은 현지화의 모방이 아니라 정체성의 선명화에서 비롯된다. 한국적 미학과 문화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전략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를 재확인시켰으며, 이는 창작국악 등 전통 문화 자원과 결합할 때 더욱 강력한 글로벌 차별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K-팝은 향후 학술적 담론과 산업적 실천이 상호 보완되는 가운데, 팬덤 참여형 플랫폼 강화, 산업 간 융합 생태계 조성, 정체성 기반 글로벌 마케팅이라는 세 축을 통해 음악을 넘어 세계 문화산업의 핵심 허브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는 곧 K-팝이 단순한 장르적 성공을 넘어, 한국 문화 전반의 지속 가능한 세계화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임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정덕호. 2020. 케이팝의 세계화와 팬덤 문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문사철. 월드투데이, 2025, 07.12

가상과 현실의 경계 허무는 K.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흥행 분석

민들레.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https://www.mindlenews.com), “귀신 잡는 K팝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성공했을까?”

조선일보, '케데헌', 역사 새로 썼다. 넷플릭스 최초 5주차 시청률 1, 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movie/2025/07/23/Y2WLAJS3ZPFLOX3DQMUGO7E42E/

최현정. 2025. 더팩트. 0825,

기사(https://news.tf.co.kr/read/entertain/2236637.htm)

한국관광공사, “BTS와 함께한 한국관광 캠페인”, 2021.

EW. (2025, June). “KPop Demon Hunters” breaks Netflix record. Entertainment Weekly.

Guardian. (2025, Aug 25). KPop Demon Hunters: everyone is talking about it at school and on social media, but what is it? The Guardian.

Hauser, A. (1982). The Social History of Art (Vol. 14). London: Routledge.

Howard, K. (2017). K-Pop: The International Rise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London: Routledge.

Jenkins, H. (2006).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NYU Press.

Jin, D. Y. (2016).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News Zum. (2025, Aug). 케이팝 데몬 헌터스, 싱어롱 이벤트 흥행.

Samsung Newsroom. (2025, Aug). 삼성전자,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갤럭시 테마 공개.

Reuters. McDonald’s BTS Meal Boosts Global Sales, 2021.

Roland Robertson, Glocalization: Time-Space and Homogeneity-Heterogeneity, Sage, 1995.

Times of India. (2025, Aug). KPop Demon Hunters character Derpy boosts Korea’s tiger craze.

Vogue Korea. (2025, Aug 27). 넷플릭스 최고 인기 영화에 등극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