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성3

mynews-365 2025. 10. 10. 15:32

 

 

 

2) 자발성과 참여성을 통한 공동체성 확장

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역축제로 정립되어야 한다. 지역축제로의 줄다리기가 재탄생하기 위해 지역 사회의 문화 콘텐츠를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매력 있는 지역의 스토리와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지역색 짙게 스토리텔링한다면 줄다릭는 한류문화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때 우리의 문화와 가치를 글로벌 기준에 맞게 재해석하고 창조하는 노력을 해야 하며 문화콘텐츠 발굴과 재해석에 필요한 한국적 문화의식과 정체성은 우리의 문화원형에서 찾아야 한다. 문화원형에서 생활문화로 영역을 확대하면 콘텐츠의 자원은 무궁무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줄다리기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흥의 잔치를 형성하려면 기존의 민속 콘텐츠와 연결이 되어야 한다. 줄다리기를 축제화하기 위해서는 준비, 의식, 뒤풀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고, 줄다리기 줄의 제작을 함께 하는 과정도 필요하며, 제작된 줄을 이용하여 경연대회를 참가하고 승리한 쪽에 축하하는 방식으로 그 지역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할만 하다.

이런 측면에서 줄다리기 축제를 다음과 같은 방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먼저 마을 단위마다 이루어지는 줄다리기용 줄 제작 과정을 통해 선조들이자연을 이용하던 방식을 전승하고, 후대들에게 나눔과 일종의 수눌음정신을 공유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

다음으로 제작된 줄을 사용하여 경연대회에 참여함으로써,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승리한 쪽을 축하하는 방식으로 지역의 전통 먹거리를 마을 단위별로제공하거나, 지역문화와 관련된 공연이나 예술제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확장한다.

마지막으로 경연에 사용한 줄은 마을 주민들이 서로 나누어 보존하여 다음해 치르는 마을축제 행사에서 모두 모여 태움으로써 그 해에 치러질 줄다리기 경연을 준비할 수 있게 한다.

3) 지역성과 다양성을 통한 경제적 확장

줄다리기에서 구현되는 지역적 특성은 한류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가치라 할 수 있다. 줄다리기를 통한 한류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강조하며 지역경쟁력 구축의 중요한 수단으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그 지역의 현재를 담아내는 지역다움의 내용을 잘 찾아서 담아야 한다는 점이다. 줄다리기의 재현과 같은 축제콘텐츠의 개발은 지역 정체성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고,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우리가 가진 문화자원을 통해 경제적 이윤 창출의 성공적인 한류문화콘텐츠개발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대중성과 예술성을 갖추고 관광객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줄다리기 콘텐츠를 만들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즐다리기를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을 모색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개최되는 한류 콘서트 및 뮤직 어워드와 지역 줄다리기 축제를 연계하여 외국 관광객을 모집한다. 대형 이벤트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을 확보하고 현지 여행사를 통해 모집하는 것이다. 아시아송페스티벌, 인천한류콘서트, 경주한류드림페스티벌, Melon Music Awards 등 대표적 한류콘서트를 활용한다면 흥행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해외 한류팬 참여형 이벤트로 K-POP 커버댄스 페스티벌 등 참여형·쌍방향 이벤트를 통해 한국방문 체험 및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동시에 기존의 지역 몰이나 마을축제와 연계를 통해 문화축제의 패키지를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지역의 특수한 자연, 풍속을 단일개체로 그 지역에 산재 또는 복원 가능한 문화유산을 한국 전통문화의 고향이라는 큰 스토리를 축으로 하여 패키지화하면 지역의 고유한 가치를 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자원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문화의 본질이 지역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문화의 보편성도 중요하지만, 문화의 지역적 특수성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 결론

본 연구는 줄다리기를 활용한 한류문화콘텐츠 확장 가능성을 고찰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줄다리기에 내재한 문화콘텐츠적 가치로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놀이문화적 가치, 집단무의식을 기반으로 한 철학적 가치, 관광축제로서 경제적 가치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으로 보존과 전승을 통한 원형성 확장, 자발성과 참여성을 통한 공동체성 확장, 지역성과 다양성을 통한 경제적 확장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줄다리기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 가능성은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다양한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줄다리기에 관한 한류문화콘텐츠 연구가 비교적 미흡하기 때문에, 학술대회 등 줄다리기의 문화콘텐츠 방안을 연구가 배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줄다리기가 보여주는 정체성, 현재성, 축제성 등을 한류문화콘텐츠 경쟁력의 원천으로 활용하면 무한한 발전 가능성은 물론이고 집단적이면서도 독창적인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 체험 확대로 한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외시장을 선도하고 고부가가치의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줄다리기와 같은 전통 민속놀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나아가 한류문화콘텐츠는 영화, 게임, 음반, 애니메이션, 캐릭터, 출판 등 다양한 관련 산업으로 확장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SPIN-OFF/OTT) 마케팅 전략을 확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줄다리기를 활용하여 한류문화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유도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줄다리기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고 전통 민속놀이를 새롭게 해석하여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정훈(2012),일본인의 한류에 대한 태도가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산업혁신연구28(2): 195-217.

류호철(2019),문화관광 관점에서 무형문화재 활용과 실존적 진정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기지시 줄다리기와 한산모시짜기를 사례로,관광연구저널33(1): 35-49.

변미혜(2018),놀이문화로서 줄다리기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국악교육연구12(2): 49-87.

서종원(2011),줄다리기 성격의 지속과 변화,실천민속학연구17: 157-190.

서해숙(2016),줄다리기의 역사적 전통과 현대적 복원,남도민속연구33: 67-95.

---------(2011),도작문화축제로서 줄다리기의 전승 연구,남도민속연구22: 135-167.

안호숙(2011),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난 미의식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윤선(2006),민속문화 기반의 문화콘텐츠 기획론, 민속원.

이정은(2021),동아시아 줄다리기형 축제의 전승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창식(2017),줄다리기의 원형·전형·변형,남도민속연구, 34: 193-240.

----------(2009),줄다리기의 원형복원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삼척 기줄다리기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38: 241-287.

정익준(2007),줄당기기의 여가문화적 특성 연구,觀光硏究22(1): 247-263.

전영준(2017),제주 줄다리기의 역사문화원형 복원과 축제콘텐츠 개발,지방사와 지방문화20(2): 261-283,

---------(2015),제주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기획 방향,탐라문화49: 163-190.

타오쿤(2017),한국 줄다리기와 중국 용선(龍船)의 축제의식 및 문화 비교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하웅용(2020),민속 줄다리기 계승과 지역 축제로서의 가능성,해양스포츠연구2: 1-10.

한양명(1994),줄당기기의 주술종교적 성격과 기능체계,민속연구4: 56-58.

현용준(2009),제주도 사람들의 삶, 민속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