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문화예술협동조합

문화예술협동조합의 자립 전략

mynews-365 2025. 10. 20. 11:23

 

 

 

 

1. 서론

이 글의 목적은 문화예술협동조합이 커뮤니티 아트와 문화민주주 의를 실현하기 위한 당면 과제로서의 자립 전략을 구성해보는 것에 있다. 이는 효율성과 경쟁으로 점철되는 개인주의를 극복하고 친절, 배려, 공생 등으로 네트워킹 되는 연대의 사회, 공동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공동체의 감수성을 문화와 예술콘텐츠를 매개로 하는 집단, 협 동조합으로 모색해보는 데 있어 절실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공공미술로 대표되는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s)는 2천 년대 정부의 문화예술정책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이후 사회구성원의 예술 실천을 통해 예술과 삶의 통합을 지향하고 보다 나은 삶을 추구 하며 타자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는 속에서 개인 과 사회가 가져야 할 가치들을 환기하고 회복하려는 모색으로 확장되 어왔다. 그러나 2천 년대 공공미술의 확장정책은 문화의 헤게모니전 략으로 정부는, 미술의 자율성은 작가 개인과 시장으로 미룰 수 있었 고, 작가자신들은 공공성이라는 이름으로 사회 환원적인 프로젝트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니까 문화예술인들은 국가의 문화헤게모 니에 자발적 동의를 한 셈이다 .

따라서 이 논문은 지금까지 도시 환경미화적 공공미술이나 지자체 홍보 목적의 지역축제 성격의 커뮤니티 아트를 ‘문화의 민주화’와 ‘ 문 화민주주의 ’라는 두 개념으로 대비하여 그 본질적 정의를 통해, 향유 자 중심의 문화예술인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정립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나아가 급변하는 문화생태계에서 문화 예술인들의 새로운 존재방식으로 문화예술협동조합이 적합한 양식임 을 강조하고자 한다.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협동조합은 조합원들의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목적을 동시 에 달성할 수 있는 조직형태로서 국내외에서 설립 바람이 크게 일고 있다. 비슷한 목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공동으로 활동할 경우 상호협력 과정을 통해 본인의 이익을 가장 잘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협동조합이 생산한 문화예술콘텐츠가 커뮤니티 아트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은 많은 사례로 증명되고 있다. 하지만 아 무리 취지와 목적이 선 ( 善)하다고 해도 이를 담보해 줄 경제적 토대가 마련되지 못할 때는 협동조합 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울 것이다. 때문에 문화예술협동조합은 무엇보다도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자생력을 기 르는 것이 선차적 과제이다. 이에 대해 이 논문은 문화예술협동조합이 그 철학적 바탕으로서 문 화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 커뮤니티 아트라는 예술적 목표와 효과적 인 경영 마케팅 기법을 도입한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자립 전략 모색 에 주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