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사회적 배경
첫째, 문화예술 활동 지속성의 측면에서 예술창작의 열악한 구조적 문제점과 문화예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문화예술협동조합의 필요 성이 제기되었다. ‘협동조합기본법 ’은 자주적 ․자립적 ․자치적인 조합 활 동을 촉진하고, 사회통합과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에 기여함을 목 적으로 제정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 문화예술협동조 합 또는 문화예술사회적협동조합을 창업하여 정부 기관에 경제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고, 일종의 기획사처럼 조합원 서로의 일자리를 창출하 여 문화예술인들이 자신의 전공과 상관없는 생계형 일자리 대신 창작 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예술 협동조합의 필요성을 동의하게 되었다.
둘째, 문화예술 향유의 측면에서 특히 대도시에 집중된 문화예술 인 프라로 인해가 지역 주민들이 서울이나 대도시처럼 문화예술 서비스 를 제공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지역 간의 문화 불균형 과 문화양극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소외 지역과 계층에게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것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 서 문화소외 지역과 계층 문화지원정책 수행 등의 사회적 목적을 실 현하기 위해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할 문화예술협동조합이 대안적 단체임이 부각되었다. 문화예술인들과 지역 주민들이 함께 만든 문화 예술협동조합이 창작자의 예술성과 소비자의 향유 욕구가 변증법적 조합을 이루어 서로를 만족시켜 줄 수 있어 문화예술협동조합은, 변화 된 문화예술 생태계에서 문화예술인들의 새로운 존재양식이자 현실적 대안이 된 것이다 .
셋째, 커뮤니티 아트적 측면에서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s)는 우리말로 ‘공동체 예술’ 혹은 ‘공동체의 이해(community of interests) 에 서 출발한 예술’로 해석 가능하다. 청소년, 여성, 인종, 지역 문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커뮤니티의 이해를 중심으로 대중이 예술의 창작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나 문화도시에 대한 관심 등이 높아지면서 문화민주주의적인 관점의 영향을 받은 문 화정책이 사회통합의 목적으로 문화복지의 확대를 통해 소외계층이나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공동체 예술, 커뮤니티 구성원의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문화예 술 활동으로 엘리트주의에 바탕을 둔 소수를 위한 고급문화예술이 아 닌 다수가 주체로 참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문화예술을 장착하여 공 동체의 문화 역량을 증대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3.2. 문화예술협동조합의 발생과 흐름
협동조합의 역사는 1800년대부터 시작된다. 1844년 영국에서 로치 데일 공정개척자협동조합이라고 하는 소비자 협동조합이 설립된 이후 소비자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신용협동조합 등이 20세기 초반에는 유럽과 북미에서, 그리고 20세기 중반까지 다른 세계 여러 나라들에 서 전국적 조직체를 형성할 정도로 발전해왔다.
국내에서도 1960년대 신용협동조합 운동 이래로 협동조합 운동이 꾸준히 실천돼 왔으며, 1990년대부터는 유기농식품의 공동구입, 공동육아, 공동의료서비스 구입 등을 위한 생협 운동이 전개돼 왔다. 하지만 이런 협동조합 운동은 일부 지식인들 주도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사회 전반적으로 주목을 받지는 못했었다. 그러나 2011년 말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고 유엔에 의해서 2012년을 ‘세계 협동조합 의 해 ’로 지정되면서 국내에서도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관심은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9,300 여 개의 협동조합이 전국적으로 설립된 현상을 봐도 알 수 있다
'세종시문화예술협동조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결론. 문화예술협동조합의 자립 전략 (0) | 2025.10.25 |
|---|---|
| 성공 사례조합의 자립 전략 요소 분석 (0) | 2025.10.24 |
| 문화예술협동조합의 킬러콘텐츠 (0) | 2025.10.23 |
| 문화예술협동조합 경영의 자립 전략 (0) | 2025.10.22 |
| 문화헤게모니와 문화민주주의 (0) | 202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