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화인물

강금종작가 결론

mynews-365 2025. 11. 2. 19:57

 

 

 

 

  본 연구는 지역 문화인물의 발굴 및 재조명을 통해 지역의 상징성과 문화적 정체성 을 정립할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한 인문학과 예술 교육의 학문적 기반과 방향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종시의 중요한 문화인물 ‘강금종’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 재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금종 작가는 제주 출생이지만 일본에서의 생활 이후 구 연기군 조치원읍에 거주하면서 집필 활동을 하며 ‘백수문학동인회’를 창립하고 ‘백수문학’을 발간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서 ‘계림동지회’를 통한 독립운동으로 일본에서 옥고도 치르기도 하였으며,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문학인으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독립운동에 헌신 하여, 세종시의 문화인물로 그의 생애와 작품 발굴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인물로서 강금종을 재조명하였다. 역사자원으로서 강금종은 세종시를 대표 하는 문화자원, 문화적 소재, 계림동지회 관련 업적, 문필 활동 등의 가치를 대중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지역문화 혹은 역사문화콘텐츠인 셈이다. 또한 문학자원으 로서 강금종은 세종 지역문학의 본류이자 역사의 큰 축이다. 셋째, 문화콘텐츠 소재로서 강금종의 콘텐츠 기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화인물의 콘 텐츠 기획은 인물 연구로부터 비롯되므로 문화인물 연구가 다양한 주제로 융합되는 형 태로 기획되어야 한다. 강금종의 업적을 발굴하고 선양 행사와 구축된 자료에 대한 다 양한 활용을 기획한다. 이러한 모든 맥락에서 주목되는 것은 문화인물로서 강금종의 현대적 가치이다. 강금 종의 생애에 대해 극적 사건이 서사화되고, 이에 대한 인물의 현실 대응 방식이었던 노마드와 문학, 인간적 고뇌를 콘텐츠화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인물의 가치는 여행, 사 색, 독서 등과 연계되어 지역과 연계하여 자리매김 되도록 한다. 이는 기존 인물의 유 명세를 이용한 유형 유산 보여주기식, 일회성 이벤트와는 다르다. 즉, 문화인물의 가치 를 지역 이미지와 연계시켜 지역의 정체성을 부각시킨 것이다. 이렇게 하면 문화인물 의 콘텐츠로서 경쟁력은 충분히 증명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Contents planning through discovery of Local Cultural Figures and Archives

      -Focusing on Sejongcity Kang Geum-j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planning content that will establish local symbolism and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discovery and reexamination of local cultural figures. To this end, we first shed new light on the life and activities of ‘Geumjong Kang’, an important cultural figure in Sejong ci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er Kang Geum-jong is a cultural figure from Sejong city who devo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Japan, and his life and works need to be discovered. Second, as a historical resource, Kang Geum-jong is an effective local culture o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that can help the public understand the value of Sejongcity's representative cultural resources, cultural materials, achievements related to ‘Gyerim Dongji Association’, and literary activities. Also, as a literary resource, Kang Geumjong is the main stream of Sejong region literature and a major axis of history. Third, the direction of Kang Geum-jong's content planning as a cultural content material was explored. Content planning for cultural figures since it comes from character research, cultural character research should be planned in a way that integrates various topics. We discover the achievements of Kang Geum-jong and plan various uses for memorial events and constructed materials. What is noteworthy in all these contexts is the modern value of Kang Geum-jong as a cultural figure. The dramatic events of Kang Geum-jong's life must be narrated, and the character's way of coping with reality, such as nomadism, literature, and human agony, must be turned into content. Key words: Local culture, Cultural figures, Kang Geum-jong, Sejongcity, Archive

참고문헌

강금종(1980), 계림동지회사건, 월간중앙, 1980년 2월호. 강금종(1985), 외로운 승리자, 무명용사의 훈장, 국가유공자 생활수기 500만원 공모 작품집, 신원 문화사. 김영화(2000), 변방인의 세계-제주문학론, 제주대학교 출판부. 김제영(1998), 으악새 슬피우니, 연기문학 4, 72-75. 박동호(2014), 통영지역에서 이중섭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31, 5-28. 백승국·오장근·전형연(2008),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 연구, 인문콘텐츠 12, 217-248. 송희영(2012),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기획연구, 예술경영연구 24, 73-96. 윤유석(2010),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 역사인물의 대중화, 인문콘텐츠 19, 301-325. 윤조병(1998), 작가 강금종을 말한다, 연기문학 4, 9-27. 이해광 외(2012), 지역 문화인물 콘텐츠개발연구: 보령,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을 중심으로, 예 술과 미디어 11(1), 225-240. 최명진(2018), 지역 역사인물 자료 조사 현황과 아카이브 과제, 역사와 역사교육 36, 79-123. 태지호(2016), 지역 역사 인물의 문화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30(1), 248-271. 한동현(2010),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구술자료의 자원화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철규(역), 비평의 해부(Anatomy of Criticism: Four Essays), Frye, H, N.(1957/2000), 한길사. 한국민족문화백과대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Search/%EA%B3%84%EB%A6%BC%EB%8 F%99%EC%A7%80%ED%9A%8C, 자료검색일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