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2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2

관광, 패션, 식품 등 산업별 확장 K-문화콘텐츠의 성공은 연관 산업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케데헌’에 등장하는 한국적 배경과 요소들은 자연스럽게 한국 관광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작품 속 서울의 풍경, 한복의 현대적 재해석, 한국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의 조화는 한국을 방문하고 싶게 만드는 강력한 마케팅 도구가 된다. 또한 헌트릭스 멤버들이 짬을 내 컵라면을 흡입한다든지, 우울한 일이 있을 때 국밥에 위로를 받는다든지 하는 장면 들은 K-food에도 관심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작품 내 패션도 눈길을 끌었다. 특히 사자보이즈의 저승사자 의상, 애비가 갓끈을 잡아서 난리난 컷은 지구 대통합을 유머스러하게 보여준다. 이렇게 한복의 현대적 재해석이나 K-패션의 세계적 확산은 새로운..

콘텐츠 2025.09.28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1. 적극적 향유자로서 팬덤의 확장 K-POP 데몬헌터스의 흥행 과정은 팬덤이 단순 소비자를 넘어 WJR극적 향유자이자 생산자(prosumer)로 기능함을 잘 보여준다. 영화는 넷플릭스 공개를 시작으로 극장 싱어롱 이벤트, OST 음원 차트 진입, 캐릭터 상품 출시, 스마트폰 테마 제공 등 다층적 매체 확장 전략을 실행하였다. 이는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가 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전형적 사례이다(Jenkins 2006). 팬덤은 SNS를 중심으로 안무 챌린지, 팬아트, 2차 창작물을 생산하며 영화의 세계관을 재구성하고 확장시켰다. 이러한 참여 문화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소비 패턴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OTT 플랫폼은 동시 공개라는 이점을 통해 팬덤의 실시간 ..

콘텐츠 2025.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