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2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4

마무리.... K-POP 데몬헌터스의 글로벌 흥행을 사례로 하여, K-팝이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 글로벌 문화산업의 플랫폼으로 성장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세 가지 핵심 과제인 적극적 향유자로서의 팬덤 확장, 관광·패션·식품 등 연관 산업과의 융합적 확장, 글로벌 타겟을 위한 정체성 마케팅은 K-팝이 문화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좌표라 할 수 있다. 첫째, 팬덤의 적극적 참여는 K-팝 산업의 가장 중요한 동력임이 확인되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참여문화는 단순 소비를 넘어 2차 창작과 재생산을 통해 K-팝의 서사를 확장하며, 이는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K-팝이 콘텐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된다. 둘째, 관광·패션·식품 등 산업별 확장은 K-팝의 부가가치를 비약적으..

콘텐츠 20:18:54

‘K-POP’의 글로벌 문화산업 방향성 3

글로벌 타겟을 위한 정체성 마케팅 ‘케데헌’의 성공에서 한국이 문화산업이 가져야 할 중요한 교훈은 ‘정체성’일 것이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다고 해서 한국적 색깔을 희석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국적 정체성을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는 것이 차별화의 핵심이 되었다. 이는 기존의 ‘현지화’ 전략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현지 문화에 맞춰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특한 문화적 가치를 전 세계에 어필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적 미학의 현대적 재해석 즉,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명제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케데헌’의 호작도 캐릭터 ‘Derpy’나 한복 모티프 무대 의상처럼, 전통문화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전략은 글로벌 차별화에 매우..

콘텐츠 13: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