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17

Ⅳ. 결론

최근에는 하이쿠의 세계화로 세계 각국에서 자국어로 하이쿠를 짓는 모임이 만들어지고 있고, 해외 곳곳에서 공동체 단위의 문학 동인회의 활동이 이미 많 이 개발되어 있다고 한다. 하이쿠(俳句)는 간결하고 쉬운 문장이면서도 독창적 인 자신만의 정신세계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시 형식이므로 쉽게 동호인들이 즐 길 수 있는 시 형식인데, 이것의 영향으로 미국과 같은 데에도 영어로 쓰이는 하이쿠 동호회가 수백 개 있다.매년 NHK 전국 하이쿠, 단가 대회에는 12만을 넘는 작품이 응모되었고, 중 학생 이하의 주니어의 하이쿠 응모는 약 3만7천 구(句)에 달했으며, 일본 대부분의 신문에는 하이쿠 투고란이 마련되어 있다. 서양에는 소네트가 있고, 중국에는 한시가 있으며, 일본에는 하이쿠가 있다. 우리나라의 시조도 과연 ..

대중문화 2025.10.19

2. 시조와 하이쿠의 실제

다음의 시조와 하이쿠의 사례를 보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까마귀’라는 시 적 대상에 대한 작자의 생각이 너무나 대조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예1) 가마귀 싸우는 골에/ 정몽주어머니, 청구영언(靑丘永言)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白鷺)야 가지 마라 성낸 가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청강(淸江)에 됴히 씨슨 몸을 더러일가 하노라쓰러져가는 고려의 운명을 다시 회복시키려고 애쓰는 아들 정몽주를 위해서 지었는데, 이성계가 아들 이방원으로 하여금 잔치를 베풀어 정몽주를 초대할 때 그에게 지어준 어머니의 노래이다. 시대가 바뀌어 나라를 지배하는 새로운 탐욕의 무리와 변절한 자들 사이에서 곧은 지조와 의리를 갖춘 사람이 자칫 휩 쓸리지는 않을까 걱정하면서, 자신의 다짐도 새롭게 하고 있다. '까마귀'와 '백로..

대중문화 2025.10.18

Ⅲ. 시조와 하이쿠의 문화전통 비교

1. 주제의식과 미의식, 창작과 향유방식단순화의 위험을 무릅쓰고 정리하자면, 시조의 문화전통은 ‘가족주의와 그의 확장지향성’이고 하이쿠의 문화전통은 ‘현존(실)의 유지와 축소지향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시조와 하이쿠의 주제의식을 볼 때, 시조는 가족주의와 그 확 장지향성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으며 하이쿠는 현존의 유지, 향유 그리고 축소 지향이 기저에 깔려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조는 가족주의와 그 확장판으로서 충(忠)을 지향하고 자신과 가족과 국가를 하나로 생각하는 가족 적 동질성의 집합체로 귀결되는 관념의 시가이고 반면 하이쿠는 현실에 만족하 고 현실을 향유하는, 나아감보다는 오히려 더 줄이려는 실용과 간명함의 시가 라 할 수 있다. 조선 전기 시조의 향유층은 사대부에 한정되어있고 잔치의..

대중문화 2025.10.17

3. 하이쿠와 문화전통

하이쿠는 17音으로 구성된 세계에서 가장 짧은 정형시로 5⋅ 7⋅ 5 형식의 확립은 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5·7·5·7·7 의 31자로 정형화되어 있 는 와카15)는 상류층 귀족들의 전유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왔다. 와카를 통해 귀족들은 자신들의 생활양식과 미의식을 표현하였으나 우아한 세계만을 추구 했을 뿐 보편적인 희로애락의 정신은 담지 못했다. 그러한 와카의 형태 속에 렌가(連歌)는 일종의 사교문예로 앞의 구 5·7·5 와 뒤의 구 7·7을 두 사람 이 상이 함께 읊어나가는 형식의 노래였는데 이것은 귀족사회에 처음 발생하여 점차 중세에 이르러서는 무사들과 승려 사이에서 많은 인기를 얻어 널리 유행하 게 된다. 그들은 더욱 여러 구를 연결하여 서로 간의 시정(詩情)을 즉석에서 교 환하는..

대중문화 2025.10.16

Ⅱ. 시조와 하이쿠, 그리고 문화전통

2. 시조와 문화전통 시조는 신라시대의 10구체 사뇌가(詞腦歌 )14)가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고려말 기에 완전히 정제된 시형 (詩形 )으로 나타난다. 시조는 발생초기에는 주로 신흥 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되었는데, 이들은 고려 중기 이후 또는 고려 말기에 성리 학을 기반으로 해 중앙의 정치무대로 진출한 사람들이다. 500년 고려 귀족들이 망쳐 놓은 세상을 바로잡고자 고뇌했던 이들은 효와 충의 유학자로서 자신의 절실한 심정을 창으로써 토로하고 싶었을 것이다. 시조가 초장 ⋅중장 ⋅종장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애초 3장의 창사로 불리우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이 단시조 형태이고 한자어, 관념어 사용이 많으며 종장 첫구를 상투적 감탄사로 시작하여 율격을 맞춘다. 표현상 음악적 (청각적 )이고 대..

대중문화 2025.10.15

Ⅱ. 시조와 하이쿠, 그리고 문화전통

1. 전통문화와 문화전통한류 또는 시조와 하이쿠를 문화전통의 관점에서 연구한 사례는 극히 드물 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왕성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연구와는 달리 ‘문화전 통 ’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김교빈8)이나 배영동9) 등 전통문화와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대표적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동의할 수 없는 부 분도 있었다. 우선, 김교빈은 ‘원형 ’의 개념을 원형 (元型:pattern)이라는 언제 어디서나 똑같은 모양의 산출물을 찍어낼 수있는 기본틀인 ‘ 형’( 型:form)과 원형 (原形:originality, archetype)이라는 고유성, 정체성을 가진 ‘본디 모양’ 등 두 가 지 의미로 나누고 있는데 이는 실체를..

대중문화 2025.10.14

시조와 하이쿠를 통해 본 한류 문화전통 고찰

I. 서론혐한의 역풍에도 한류의 열풍은 여전하다. 일찌감치 선진국에 합류한 일본이 나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의 그것보다 우리나라의 한류가 아 시아의 많은 국가들에게 통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겠는가, 그것은 이들 나라와 의 문화적 보편성 이외에 한류만 품고 있는 문화적 독창성. 문화전통 때문일 것이다.이로 인해 오늘 한류가 품고 있는 문화 전통이란 무엇일까, 하는 점을 본고 의 시작으로 삼았다. 한류의 문화전통을 찾아 그를 토대로 일본의 하이쿠와 우 리의 시조를 비교해 볼 것이고, 그 과정에서 하이쿠는 어떠한 일본의 문화전통 을 품고 있어 세계화에 성공했는지를 함께 고찰해 보려 했다 . 이와 관련해 한류 콘텐츠의 관점에서, 세계 다른 나라 정형시들과는 다르게 7백여 년 동안 긴 역사를 면면히..

대중문화 2025.10.14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성3

2) 자발성과 참여성을 통한 공동체성 확장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역축제로 정립되어야 한다. 지역축제로의 줄다리기가 재탄생하기 위해 지역 사회의 문화 콘텐츠를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매력 있는 지역의 스토리와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지역색 짙게 스토리텔링한다면 줄다릭는 한류문화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때 우리의 문화와 가치를 글로벌 기준에 맞게 재해석하고 창조하는 노력을 해야 하며 문화콘텐츠 발굴과 재해석에 필요한 한국적 문화의식과 정체성은 우리의 문화원형에서 찾아야 한다. 문화원형에서 생활문화로 영역을 확대하면 콘텐츠의 자원은 무궁무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동시에 줄다리기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흥의 잔치를 형성하려면 기존의 민속 콘텐츠..

대중문화 2025.10.10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의 확장성2

1. 줄다리기 콘텐츠의 확장 의의줄다리기는 고유한 전통성과 함께 민중들의 무의식을 자극하여 그 안에 녹아드는 사회집단적 가치와 인간의 감정을 상징화한 예술 양식이다. 줄다리기 상징성에는 민간사상이 기초가 되었고 생활관습과 취향으로 재해석되어 확립되었다. 따라서 한류문화콘텐츠로서 줄다리기는 한류팬들에게 다양성, 개방적창의성, 편안한 접근성을 통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선조들의 관습과 풍습, 관례 속에서 발견하는 사상적 의미와 상징성을 통한 줄다리기의 예술성에 대한 이해를 넓혀 한국 민속놀이의 미의식을 폭넓게 확장시킬 수 있다. 이로서 줄다리기가 보여주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한 한류문화콘텐츠는 전통문화 이해를 가능하게 하여 민족적 자긍심을 배양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대중문화 2025.10.10

줄다리기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1.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놀이문화적 가치놀이 문화로서 줄다리기의 가치는 일상생활에서 공동체적 또는 전통적 가치관으로 놀이에 오롯이 담겨있다. 줄다리기의 연행 방식에서도 단순히 놀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따라, 예를 들어 호남지역에서는 마을 공동 제의인 동제(洞祭)와 함께 연행된다. 동제는 마을 신앙과 풍습을 담고 있어 그 시대의 생활풍습과 문화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로서 줄다리기는 조선시대의 농경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놀이를 준비하고 실시하는 동안 이루어지는 다양한 과정들은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풍습과 사상을 이해하는 정보로 활용된다.이러한 특성으로부터 줄다리기는 보편적 놀이로서 가치, 놀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 발..

대중문화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