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시조와 문화전통 시조는 신라시대의 10구체 사뇌가(詞腦歌 )14)가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고려말 기에 완전히 정제된 시형 (詩形 )으로 나타난다. 시조는 발생초기에는 주로 신흥 사대부들에 의해 창작되었는데, 이들은 고려 중기 이후 또는 고려 말기에 성리 학을 기반으로 해 중앙의 정치무대로 진출한 사람들이다. 500년 고려 귀족들이 망쳐 놓은 세상을 바로잡고자 고뇌했던 이들은 효와 충의 유학자로서 자신의 절실한 심정을 창으로써 토로하고 싶었을 것이다. 시조가 초장 ⋅중장 ⋅종장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애초 3장의 창사로 불리우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이 단시조 형태이고 한자어, 관념어 사용이 많으며 종장 첫구를 상투적 감탄사로 시작하여 율격을 맞춘다. 표현상 음악적 (청각적 )이고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