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2

Ⅱ. 시조와 하이쿠, 그리고 문화전통

1. 전통문화와 문화전통한류 또는 시조와 하이쿠를 문화전통의 관점에서 연구한 사례는 극히 드물 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왕성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연구와는 달리 ‘문화전 통 ’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김교빈8)이나 배영동9) 등 전통문화와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대표적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동의할 수 없는 부 분도 있었다. 우선, 김교빈은 ‘원형 ’의 개념을 원형 (元型:pattern)이라는 언제 어디서나 똑같은 모양의 산출물을 찍어낼 수있는 기본틀인 ‘ 형’( 型:form)과 원형 (原形:originality, archetype)이라는 고유성, 정체성을 가진 ‘본디 모양’ 등 두 가 지 의미로 나누고 있는데 이는 실체를..

대중문화 2025.10.14

시조와 하이쿠를 통해 본 한류 문화전통 고찰

I. 서론혐한의 역풍에도 한류의 열풍은 여전하다. 일찌감치 선진국에 합류한 일본이 나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의 그것보다 우리나라의 한류가 아 시아의 많은 국가들에게 통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겠는가, 그것은 이들 나라와 의 문화적 보편성 이외에 한류만 품고 있는 문화적 독창성. 문화전통 때문일 것이다.이로 인해 오늘 한류가 품고 있는 문화 전통이란 무엇일까, 하는 점을 본고 의 시작으로 삼았다. 한류의 문화전통을 찾아 그를 토대로 일본의 하이쿠와 우 리의 시조를 비교해 볼 것이고, 그 과정에서 하이쿠는 어떠한 일본의 문화전통 을 품고 있어 세계화에 성공했는지를 함께 고찰해 보려 했다 . 이와 관련해 한류 콘텐츠의 관점에서, 세계 다른 나라 정형시들과는 다르게 7백여 년 동안 긴 역사를 면면히..

대중문화 2025.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