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통문화와 문화전통한류 또는 시조와 하이쿠를 문화전통의 관점에서 연구한 사례는 극히 드물 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왕성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연구와는 달리 ‘문화전 통 ’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김교빈8)이나 배영동9) 등 전통문화와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대표적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동의할 수 없는 부 분도 있었다. 우선, 김교빈은 ‘원형 ’의 개념을 원형 (元型:pattern)이라는 언제 어디서나 똑같은 모양의 산출물을 찍어낼 수있는 기본틀인 ‘ 형’( 型:form)과 원형 (原形:originality, archetype)이라는 고유성, 정체성을 가진 ‘본디 모양’ 등 두 가 지 의미로 나누고 있는데 이는 실체를..